하나님의 선택(Election)

구원 : 2021. 5. 11. 05:18

하나님의 선택(Election)

 

선택이란 창세전에 인간이 본래의 온전한 상태로부터 죄와 파멸로 전락할 것에 대비하여 세워두신 그리스도 안에서 은혜로우신 하나님의 구원의 불변적 목적을 일컫는다(1:4, 7).

 

칼 바르트는 선택의 교리를 복음의 절정(Summe des Evangeliums)’으로 보았다(CD II/2:3). 그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는 신적 작정의 주어와 목적어가 된다. 그리스도는 모든 사람을 선택하시는 분(하나님)일 뿐 만 아니라, 선택 받으신 분(인간)이기 때문이다. 더 나가서 그리스도가 선택 받은 분이라는 것은 동시에 유기(遺棄), 배척된 분도 되신다. 이는 그리스도 일원론적(christomonistic) 선택 개념이다. 바르트의 이 시각에는 보편적 선택이 깔려 있다. 흔히 이를 두고 보편적 구원론 주장이라는 비판이 있으나, 이는 보편적 구원이 가능하게 된 보편적 선택 교리에 그 요점이 있는 점을 간과한 탓일 것이다. 이 하나님의 선택 교리 논의에서 인간의 ‘no’라는 반응도 내재되어 있다는 문제 제기가 있어 왔으나, 많은 분들은 큰 은혜의 승리(a massive triumph of grace)’로 보았다.

 

하나님의 선택 유형은 대체로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1. “하심을 받은 天使”(딤전 5;21). 이들은 타락한 천사들(벧후 2:4; 6; 18:1; 19:17; 20:1; 21;9)과 대비된다.

2. 봉사 또는 직무를 위한 선택. 다윗이 이스라엘 왕으로 선택 받은 사례가 이 유형 에 속한다(삼상 16:7-12). 예수께서 제자들과 사도들을 선택하신 것도 이 유형에 속한다(6:13; 6:70 ).

3. 아브라함 자손들을 이스라엘 신정국가로 선택하신 일 (4:37; 7:6-7 )

4. 메시아의 선택(42:1; 9:35; 23;35)

5. 구원을 위한 선택. 칼뱅 중심의 개혁교회가 이 선택을 주장하여 왔다. 그 근거를 엡 1:3-11에 두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문이 개인적 구원을 위한 선택이 아닌 일반 적인 선택이며 그 것도 집합적이라는 문법적 이해를 간과한 것이다. 8:28-11:36 을 근거로 한 도르트회의에 의한 구원선택교리를 두고 아르미니우스파의 항론이 치 열하게 전개되어왔다. 구원을 위한 칼뱅의 제한 선택 교리 이해는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다.

 

선택 교리의 이해 방향

1. 하나님의 작정

하나님의 선택 교리는 하나님의 작정(decree) 교리를 저변에 깔고 있다. 하나님의 작정은 영원 전에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확립해 두신 세상과 역사에 관한 종합적인 구속의 경륜을 두고 사용하는 신학적 용어이다. 이 용어는 창세전에 세우신 영원한 경륜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모든 일을 그의 뜻의 決定대로 일하시는 이의 計劃을 따라 우리가 豫定을 입어 그 안에서 基業이 되었으니”(1;11).

 

2. 보편적 선택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인간을 선택하신다. 예수께서는 각 사람에게 그리스도의 죽으심을 통하여 값없이 영생의 선물을 주시기로 작정하셨다. . 선택은 위에서 지적하였듯이 집합적이고 일반적이다. 제한선택론은 하나님의 사랑을 왜곡시킬 뿐이다. 하나님은 특정의 인간만을 구원하고, 특정의 사람을 유기하는 이중 선택을 하지 않으신다. “하나님이 世上을 이처럼 사랑하사 獨生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마다 滅亡하지 않고 永生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3;16).

 

3. 인간의 선택의 자유

그리스도교 역사에 있어서 첫 4세기 동안 서방교회에서는 인간의 타락과 구원을 위한 신적 은혜의 필요성에 역점을 두었다. 반면에 동방교회에서는 인간의 자유의지에 역점을 두었다. 펠라기우스(354-420/440)는 아담의 타락으로 인한 자유의지에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을 배척하면서 신적 은혜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하나님과 독립적이라고 하였다. 즉 죄가 인간의 본성을 부패시킨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하나님께 구주 차원에서보다도 창조주 차원에서 영광을 돌린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아담의 타락이 그의 후손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그 유일한 해결책은 그리스도 구원의 선물에 있다는 성경의 가르침과 배치된다. 한 사람(아담)의 범죄로 모든 사람이 죄인이 되었으며, 예수그리스도의 의의 행동으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르렀다(5:18-19; 고전 15;21).

 

아담의 죄로 그의 후손은 태생적으로 진노(φύσις)의 자녀로 전락되었다. "전에는 우리도 다 그 가운데서 우리 肉體慾心을 따라 지내며 肉體와 마음의 원하는 것을 하여 다른 이들과 같이 本質上 震怒子女이었더니"(2:3), “사람들은 본성적으로 자선적이 아니고, 탐욕적이요 탐심이 많으며, 자아를 위하여 살아간다”(5T 382). 펠라기우스가 인간이 무죄한 상태로 탄생하고 하나님의 도움 없이 자유의지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견해는 431년 에베소회의에서 배척당하였다.

 

아우구스투스(Augustus)는 인간의 책임을 하나님의 주권에 흡수시켜 버렸다. 펠라기우스도, 아우구스투스도 극단으로 치우쳐졌다. 그러나 아우구스투스의 사상에 관하여서는 어느 국면을 보느냐의 문제가 있다. 그의 초기 사상에는 인간의 자유의지가 하나님의 선물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은혜가 인간의 자유의지를 폐하지도 않는다. 인간의 의지는 하나님의 도우심을 요청한다. 아우구스투스는 너희 안에서 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自己의 기쁘신 뜻을 하여 너희에게 所願을 두고 하게 하시나니”(2;13)를 강조한다. 그리고 그는 하나님은 모든 인간이 구원 받기를 확실하게 바라시며 진리의 지식으로 들어오기를 원하시지만, ...그들로부터 자유의지를 빼앗지 않으신다.” 이런 그의 시각에 비추어 보면 인간의 운명이란 인간이 자유의지의 활용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비쳐진다. 그러나 그의 이런 시각은 후기에까지 이어지지 않는다. 그는 후에 인간이 아담의 죄책에 책임지는 상태로 탄생하여 선택의 자유를 상실하였다는 원죄관은 성경의 바른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난 것이다. 켈리가 지적하였듯이 자유의지가 있다고 하여도 그것은 죄를 지을 수밖에 없는 잔혹한 필연성으로 전락되어 버린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언약적인 교제를 하기 위하여 창조 시 인간에게 선택의 자유를 부여하셨다. 선택의 자유에 관하여 아우구스투스와는 다른 주장을 한 교부들도 있었다. 특히 그의 이전 교부들은 선택의 자유를 중요시하였다. 이레네우스(ca. 130-200)는 인간의 선택의 자유를 중요시한 신학자이었다. 서방의 교부들 (Hilary of Poitiers, Ambrose, Tertullian, Cyprian)은 인간의 타락과 신적 은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반면에 알렉산드리아 교부들(Clement, Chrysostom)은 인간의 자유가 하나님의 은혜와 협력해야 하는 점에 초점을 두었다.

 

하나님께서 인간의 타락 전이나 타락 후를 가리지 않고 선택의 자유를 주신다. 이것이야 말로 사랑의 하나님 개념에 조화되는 접근방식이다. 사랑에는 강요나 강제가 없다. 인간이 자발적으로 순종하는 것을 기뻐 받으신다. 아담이 불순종하고 타락함으로 그가 가지고 있던 자유의지가 약해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여전히 성경은 인간을 향해 선과 악에 관하여 그의 의지로 선택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

 

신명기 3019~20절에 의하면 선과 악을 선택할 능력을 전제로 하여 인간에게 자유의지를 선용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

 

내가 오늘 하늘과 땅을 불러 너희에게 證據를 삼노라 내가 生命死亡詛呪를 네 앞에 두었은즉 너와 네 子孫이 살기 하여 生命하고 20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고 그의 말씀을 聽從하며 또 그를 依支하라 그는 네 生命이시요 네 長壽이시니 여호와께서 네 祖上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주리라고 盟誓하신 땅에 네가 居住하리라“(30:19-20).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는 주동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동시에 인간의 의지도 하나님의 은혜에 협력해야 한다. 하나님의 선행적 은혜가 없다면 구원을 위한 인간의 노력은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또한 선행적인 하나님의 은혜에 협력하려는 인간의 의지가 없이 구원에 이를 수도 없다. 하나님께서는 구원의 은혜에 능동적으로 참예하는 이를 구원으로 이끄시기 때문이라 한다.

 

인간의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가 제1차적 요인이 되고, 인간의 의지가 제2차적 요인이 되어 하나님의 은혜와 협동적으로 함께 역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멜랑히톤(Melangchthon)의 지지를 받았던 에라스무스의 신인협동설(神人協動說, synergism)은 후에 웨슬리(John Wessley)에 의하여 선행적 은총(preventing grace)에 토대를 둔 복음적 신인협동론으로 발전하였다.

 

인간 품성형성에 있어서 그토록 중요한 하나의 요인인 의지는 타락 시에 사단의 장악 하에 들어갔다. 인간이 하나님께 의지를 바쳐야 한다(5T 515). 인간이 하나님께 의지를 바친 후 하나님으로부터 의지를 받아야 한다(MB 62). 이런 시각은 웨슬리의 선행적 은혜 개념과 맥을 같이 한다.

 

 

 

'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서의 旅程  (0) 2021.08.15
용서(容恕)의 의미에 관한 노트  (0) 2021.08.15
하나님의 명령을 받은 여인  (0) 2021.04.22
구약 성서의 의인들  (0) 2021.04.13
믿음이란?  (0) 2021.02.15
Posted by KAHN0211